2025년 대한민국 유튜브 생태계는 전례 없는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구독자 1억 명을 돌파한 숏폼 크리에이터부터 글로벌 K-POP 제국까지, 이제 '파워'의 정의가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2025년 대한민국 유튜버 시장에서 '파워'는 두 가지 상이한 의미로 해석됩니다:
구독자 수가 가장 많은 채널이 반드시 가장 높은 문화적 영향력이나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김프로KIMPRO는 구독자 수 1위이지만,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쯔양이 가장 좋아하는 유튜버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25년 4분기 기준 구독자 수를 주요 기준으로 하여 집계되었습니다.
순위 | 채널명 | 구독자 수 (백만) | 총 조회수 (십억) | 동영상 수 | 주요 카테고리 |
---|---|---|---|---|---|
1 | 김프로KIMPRO | 121.0 | 107.8 | 83,510 | 엔터테인먼트 숏폼 |
2 | BLACKPINK | 98.9 | 39.9 | 6,636 | 음악 K-POP |
3 | HYBE LABELS | 78.6 | 41.3 | 9,277 | 음악 K-POP |
4 | CuRe 구래 | 31.3 | 25.3 | 7,784 | 엔터테인먼트 숏폼 |
5 | ToyPuddingTV | 27.6 | 16.7 | 2,420 | 키즈 애니메이션 |
6 | 1MILLION Dance Studio | 26.4 | 8.6 | 18,730 | 댄스 음악 |
7 | GH'S | 25.7 | 22.0 | 8,102 | 엔터테인먼트 애니메이션 |
8 | KBS WORLD TV | 20.3 | 17.6 | 5,581 | 방송 엔터테인먼트 |
9 | ROSÉ | 19.2 | 4.5 | 1,187 | 음악 K-POP |
10 | Jane ASMR 제인 | 18.4 | 8.1 | 2,670 | ASMR 먹방 |
11 | 유백합 kkubi99 | 17.5 | 7.6 | 31,500 | 엔터테인먼트 숏폼 |
12 | JFlaMusic | 17.3 | 3.9 | 6,376 | 음악 커버 |
13 | BIGBANG | 16.7 | 9.7 | 2,776 | 음악 K-POP |
14 | Hongyu ASMR 홍유 | 16.7 | 6.2 | 6,101 | ASMR 먹방 |
15 | 보겸TV | 16.4 | 3.7 | 4,926 | 엔터테인먼트 게임 |
16 | SEVENTEEN | 15.8 | 7.5 | 6,310 | 음악 K-POP |
17 | 설기양SULGI | 15.8 | 4.8 | 8,967 | ASMR 먹방 |
18 | 핑크퐁 (인기 동요・동화) | 15.7 | 12.8 | 9,418 | 키즈 교육 |
19 | BIBO와 장난감 | 15.7 | 3.9 | 5,282 | 키즈 장난감 |
20 | Boram Tube ToysReview | 14.8 | 5.2 | 2,679 | 키즈 장난감 |
21-30 | GONGSAM TABLE 이공삼, KKUBI STUDIO, [햄지]Hamzy, 서은일상이야기, TOMORROW X TOGETHER, Byungari 병아리언니, ENHYPEN, Foodie Mama, 쏘영 Ssoyoung, 유창조 You Chang Jo | ||||
31-50 | MBCkpop, DuDuPopTOY, Stone Music Entertainment, 토이몽 TV, SIO ASMR, TwinRoozi 쌍둥이 루지, 문복희 Eat with Boki, M2, Larva TUBA, 소맥거핀, 이지금 [IU Official], 조이밤 Joy_Bamm, dsand, Nao FunFun, BABYMONSTER, Jin and Hattie, KBS Kpop, Cha Dabin, EXO, ITZY | ||||
51-100 | 팀일루션 노성율, (G)I-DLE, Boram Tube, Mnet TV, 서은이야기, MBCentertainment, SEALOOK Official, PP, 미니특공대TV, SBSKPOP X INKIGAYO, JTBC Entertainment, KIMPRO STUDIO, aespa, NewJeans, JISOO, 야미보이 Yummyboy, TREASURE, MariAndKids, BEATPELLA HOUSE, Samsung, 청담언니, tvN DRAMA, Sungha Jung, SonicToy소닉토이, 채널십오야, 5 분 Tricks, Daud Kim, ToonToon Daily, Lala and Lulu, SBS Drama, NCT DREAM, ALL THE K-POP, With Kids Playground, MAMAMOO, 베이비버스, 미니팡TV, STARSHIP, [장난감티비]TOYTV, Jeffrey X, 뽀로로(Pororo), NCT, MayTree, jenny slime, 백종원 PAIK JONG WON, 이노냥 inoCat, LE SSERAFIM, HIU 하이유, 쯔양, 곽튜브, 빠니보틀 |
순위 | 채널명 | 구독자 수 (백만) | 추정 연간 소득 범위 (원) | 주요 수익원 |
---|---|---|---|---|
1 | 김프로KIMPRO | 121.0 | 500억 ~ 2,500억 | 숏폼 광고 수익, 브랜드 협찬 |
2 | BLACKPINK | 98.9 | 100억 ~ 500억 | 글로벌 IP (음반, 투어), 브랜드 앰배서더 |
3 | HYBE LABELS | 78.6 | 80억 ~ 400억 | 글로벌 IP (음반, 투어), 팬 플랫폼 |
4 | CuRe 구래 | 31.3 | 100억 ~ 550억 | 숏폼 광고 수익, 브랜드 협찬 |
5 | ToyPuddingTV | 27.6 | 15억 ~ 100억 | 광고 수익, IP 라이선싱, 굿즈 |
6 | 1MILLION Dance Studio | 26.4 | 10억 ~ 50억 | 광고 수익, 오프라인 사업 연계 |
7 | GH'S | 25.7 | 120억 ~ 360억 | 숏폼 광고 수익, 애니메이션 IP |
8 | KBS WORLD TV | 20.3 | 50억 ~ 200억 | 광고 수익, 콘텐츠 라이선싱 |
9 | ROSÉ | 19.2 | 10억 ~ 80억 | 광고 수익, 브랜드 앰배서더 |
10 | Jane ASMR 제인 | 18.4 | 60억 ~ 500억 | 광고 수익 (글로벌 타겟) |
11 | 유백합 kkubi99 | 17.5 | 50억 ~ 200억 | 숏폼 광고 수익, 브랜드 협찬 |
12 | JFlaMusic | 17.3 | 10억 ~ 70억 | 광고 수익, 음원 수익 |
13 | BIGBANG | 16.7 | 15억 ~ 100억 | 광고 수익, 글로벌 IP |
14 | Hongyu ASMR 홍유 | 16.7 | 20억 ~ 150억 | 광고 수익 (글로벌 타겟) |
15 | 보겸TV | 16.4 | 10억 ~ 60억 | 광고 수익, 브랜드 협찬, 팬 후원 |
16 | SEVENTEEN | 15.8 | 20억 ~ 120억 | 글로벌 IP, 자체 콘텐츠, 팬 플랫폼 |
17 | 설기양SULGI | 15.8 | 8억 ~ 50억 | 광고 수익, 브랜드 협찬 |
18 | 핑크퐁 | 15.7 | 20억 ~ 150억 | 광고 수익, 글로벌 IP 라이선싱, 굿즈 |
19 | BIBO와 장난감 | 15.7 | 5억 ~ 40억 | 광고 수익, 브랜드 협찬 |
20 | Boram Tube ToysReview | 14.8 | 5억 ~ 50억 | 광고 수익, 브랜드 협찬 |
온라인 분석 사이트의 추정치는 실제 수입과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유튜브 쇼츠는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닌, 채널의 발견과 성장을 위한 핵심 엔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Z세대의 59%가 장편 콘텐츠를 시청하기 전, 쇼츠를 통해 해당 콘텐츠를 먼저 발견한다는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생성형 AI 기술은 콘텐츠 제작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OpenAI의 'Sora'와 같은 동영상 생성 AI는 제작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새로운 창의적 영역을 열어줄 것입니다. 버추얼 유튜버 시장은 2023년 28억 달러에서 2030년 17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광고 수익이 일부 최상위 크리에이터에게 집중되고 시장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크리에이터들은 광고 의존도를 낮추고 직접적인 팬 후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을 구축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유튜브 시장은 앞으로도 거대 IP를 보유한 기업형 채널과, 민첩하고 창의적인 개인 크리에이터 사이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것입니다. 시장의 다음 혁신은 AI 네이티브 크리에이터와 버추얼 유튜버로부터 시작될 것이며, 대한민국 크리에이터 경제는 단순히 성장하는 것을 넘어, 그 구조와 본질 자체가 근본적으로 변혁하는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핵심 메시지: 미래의 '파워 유튜버'는 단발적인 바이럴 영상의 조회수가 아닌, 스쳐 가는 시청자를 얼마나 깊이 있는 유료 커뮤니티의 일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지에 따라 그 가치가 평가될 것입니다.
※ 본 분석은 2025년 4분기 기준 공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제 수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 출처: Vidiq, 녹스인플루언서(Noxinfluencer), 하이프오디터(HypeAuditor), 한국갤럽